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목차

       

    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, 2025년부터 바뀝니다! 대출이 어려워지는 이유, DSR 계산법, 규제 기준, 신DTI와 차이점, 제외대출, 스트레스 DSR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
      DSR이란?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
      **DSR(Debt Service Ratio)**은 개인의 연소득 대비 매년 갚아야 할 대출 원리금의 비율을 뜻합니다.
      쉽게 말해 **"소득 대비 빚 부담 수준"**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      예시)
      연소득 5,000만 원 × DSR 40% → 1년에 상환 가능한 대출 원리금 = 최대 2,000만 원

      💡 포함 대출:
     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마이너스통장, 자동차 할부, 카드론 등 모든 금융권 대출 포함


      DSR 계산법

      DSR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%

      📌 DSR 포함 항목

      • 주택담보대출
      • 신용대출
      • 마이너스 통장 (한도 기준)
      • 카드론, 자동차 할부
      • 학자금 대출 등

      📌 신DTI와 차이점은?
      | 구분         | DSR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신DTI 
      | 기준         | 전체 대출 원리금        | 주담대 원리금 + 기타 이자 
      | 평가 방식 | 모든 금융권 대출 포함 | 주담대 중심 
      | 규제 강도 | 더 강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| 상대적으로 완화 


      DSR 대출 규제 기준

      • 일반적으로 40% 기준 적용
      • 고소득자1주택자는 70%까지 가능
      • DSR 초과 시 신규 대출 제한


      DSR 제외대출

      다음 대출은 DSR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:

      ✔️ 전세보증금 반환 대출
      ✔️ 정책자금 대출
      ✔️ 소액 보험약관대출
      ✔️ 일시적 2주택 처분 전 대출 등


      2025년 7월 시행! 3단계 스트레스 DSR

      3단계 스트레스 DSR은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강화된 대출 심사 기준입니다.

      📌 핵심 변화

      • 모든 가계대출에 적용
      • 스트레스 금리 적용: 실제 금리 + 1.5%
      • 대출 가능 금액 축소 예상 (약 3~5%)
      • 지방 주담대 예외: 2025년 말까지 0.75%만 가산

      ☝️ 목적: 금리 인상 상황에도 버틸 수 있는 대출만 허용!


      DSR이 낮으면 좋은 이유?

      • 추가 대출 심사에 유리
      • 신용점수 관리에도 긍정적
      • 금융사 대출 한도에 직접적 영향

      📢 DSR 관리 TIP

      • DSR 계산기 활용하기
      • 고금리 대출 조기 상환
      • 불필요한 마이너스 통장 정리

      요약 정리

      항목내용
      DSR이란 연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비율
      DSR 계산 (대출 원리금 ÷ 연소득) × 100%
      규제 기준 40% 또는 70%
      포함 항목 모든 금융권 대출
      제외 항목 전세보증금 반환 등 일부 정책성 대출
      스트레스 DSR 2025년부터 금리 +1.5% 가산
       

      마무리

      이제는 단순히 금리만 보는 시대가 아닙니다.
      대출의 핵심 기준은 바로 ‘DSR’!
      특히 2025년부터 도입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을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.

       

      👉 지금 자신의 DSR을 확인하고, 대출 가능 금액을 전략적으로 계획하세요!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반응형